
마그네슘을 하루 평균 섭취량보다 약 40% 더 먹으면 치매에 걸릴 위험이 낮아진다는 연구가 나왔다.
호주국립대 연구팀은 2006~2023년 영국 전역 22개 평가 센터에서 평가를 받은 37~73세의 참가자 50만2655명에 대한 전향적 코호트 연구를 실시했다. 전향적 코호트 연구란, 현재 대상으로 선정한 집단을 미래의 시점까지 추적하는 연구를 말한다. 연구팀은 구조적 자기 공명 영상(MRI) 스캔을 완료한 사람들 중 신경 장애가 있거나 마그네슘 섭취 데이터가 없는 40~73세 6000명 이상을 선별했다. 이후 연구팀은 이들을 대상으로 하루 마그네슘 섭취량과 뇌 노화 간 연관성을 분석했다. 연구팀은 참가자들에게 온라인 설문조사를 16개월 동안 5회 실시해 참가자들의 하루 마그네슘 섭취량을 파악했다. 그 결과, 마그네슘 성분 함유 식품을 하루 평균 섭취량인 350mg보다 41% 더 많은 양인 550mg씩을 먹으면 55세가 될 때까지 뇌가 약 1년 덜 늙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마그네슘이 두뇌 핵심 시냅스를 활성화시키는 신호 전달을 강화해 뇌 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뇌 수축 정도가 줄어든 것으로 추정했다. 뇌 수축 정도가 줄면 인지기능이 덜 나빠지고 치매 발병 위험이 낮아진다. 마그네슘이 풍부한 식품으로는 시금치 등 잎이 많은 녹색 채소, 견과류, 콩류, 아보카도, 바나나 등이 있다.
연구 저자인 카울라 알라티크 연구원은 "어릴 때부터 마그네슘을 많이 섭취하면 40대 때 치매 발병 위험이 낮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유럽영양저널(European Journal of Nutrition)'에 최근 게재됐다.
호주국립대 연구팀은 2006~2023년 영국 전역 22개 평가 센터에서 평가를 받은 37~73세의 참가자 50만2655명에 대한 전향적 코호트 연구를 실시했다. 전향적 코호트 연구란, 현재 대상으로 선정한 집단을 미래의 시점까지 추적하는 연구를 말한다. 연구팀은 구조적 자기 공명 영상(MRI) 스캔을 완료한 사람들 중 신경 장애가 있거나 마그네슘 섭취 데이터가 없는 40~73세 6000명 이상을 선별했다. 이후 연구팀은 이들을 대상으로 하루 마그네슘 섭취량과 뇌 노화 간 연관성을 분석했다. 연구팀은 참가자들에게 온라인 설문조사를 16개월 동안 5회 실시해 참가자들의 하루 마그네슘 섭취량을 파악했다. 그 결과, 마그네슘 성분 함유 식품을 하루 평균 섭취량인 350mg보다 41% 더 많은 양인 550mg씩을 먹으면 55세가 될 때까지 뇌가 약 1년 덜 늙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마그네슘이 두뇌 핵심 시냅스를 활성화시키는 신호 전달을 강화해 뇌 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뇌 수축 정도가 줄어든 것으로 추정했다. 뇌 수축 정도가 줄면 인지기능이 덜 나빠지고 치매 발병 위험이 낮아진다. 마그네슘이 풍부한 식품으로는 시금치 등 잎이 많은 녹색 채소, 견과류, 콩류, 아보카도, 바나나 등이 있다.
연구 저자인 카울라 알라티크 연구원은 "어릴 때부터 마그네슘을 많이 섭취하면 40대 때 치매 발병 위험이 낮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유럽영양저널(European Journal of Nutrition)'에 최근 게재됐다.
'건강 하세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말 내내 휴식해도 피곤이 풀리지않는 사람이 많다 (25) | 2023.04.18 |
---|---|
황사 미세먼지 중에제일 나쁜건? (15) | 2023.04.13 |
식사 이렇게하면...알츠하이머 뚝 (10) | 2023.03.14 |
남자와 여자의 냄새 다른 이유는? (14) | 2023.01.29 |
노인 혼자보다 여럿운동이 치매 예방에 효과적 (12) | 2023.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