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랍드리 營農

시설채소 생리장해 발생요인과 방제대책

지올blog 2013. 2. 14. 07:46

시설채소 생리장해 발생요인과 방제대책
주요 생리장해 발생요인

생리장해는 노지재배보다는 환경조건이 불량한 겨울철 시설재배에서 많이 발생한다.
그 요인은 단순한 것에서부터 복잡한 것까지 있어서 분류하기가 상당히 어렵지만, 크게 나누어 보면
① 시설보온구조에 관련된 것,
② 농자재에 관련된 것,
③ 비배 관리에 관련된 것,
④ 광합성 산물의 분배에 관련된 것,
⑤ 접목기술에 관련된 것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가) 시설 보온구조에 의한 것
시설원예는 채소의 생육에 부적합한 환경인 저온 약일조의 동절기에 주로 농업필름을 사용하는 보온구조로 되어있다. 그 때문에 유발되는 생리장해는 표1과 같다.

[표1] 시설보온구조에 의해서 발생하는 생리장해

시설보온구조에 의해서 발생하는 생리장해
유발요인 원인 생리장해명 증상
비닐필름 가소제, 무적성불량
자외선차단
오염
비닐필름해
착색불량과
비닐필름 그으름
황화엽(Mg결핍과 비슷)
가지의 착색불량
착과, 비대불량
하우스밀폐 고온 고온장해 착과불량, 일소, 엽소
하우스밀폐불량 저온 동해, 냉풍해 엽의 백변발생, 동해
나) 농자재에 의한 것
시설원예에 있어서는 많은 각종 자재가 이용되고 있지만 이용방법이 부적절하거나 이용이 지나친 경우에 발생하는 생리장해를 표2와 같이 정리했다.

[표2] 농자재에 의해서 발생하는 생리장해

농자재에 의해서 발생하는 생리장해
유발요인 원인 생리장해명 증상
강제환기선 찬바람 과실비대불량, 열과 과실 비대불량, 열과
난방기 불완전연소 co, so2, 프로판가스 만성해, 급성해 증상 각기 틀림
탄산가스
발생장치
불완전연소가스 co가스해 낙화, 낙뢰, 착과불량
비닐호스 가소제 비닐호스해 Mg증상엽
농약 토양 소독제가스
휘발불충분
제초제 사용부적합
농약 혼용 약해
클로로피클린해

축엽
과면오점증, 축엽
순멎이, 엽황화

줄기생육 저해 및 축엽
오이, 메론 과실표면 오점발생
배지개량자재 알칼리해
볏짚퇴비
계분해
바크퇴비
훈탄해
브라스틴해
크로피트롤해
질소기아
철결핍 황화증상
축엽발생
이상엽, 가시없는 오이
생육장지
합성호르몬 호르몬 토마토 공동과 공동과, 축엽발생
포트 포트노화 방지제 포트의 해 엽맥황화 후 전체 황화고사
다) 비배관리에 의한 것
시설 내에서는 비가 직접 토양에 내리지 않기 때문에 비료의 유실이 적고, 토양중의 수분은 염류와 함께 모세관현상에 의해서 상승하여, 표면에서 수분은 증산하고 비료 성분인 염류는 표면에 집적하게 된다. 시설 내에서는 관수 형태나 방법이 따라 다르게 나타나지만 수량을 올리기 위해서 비료를 다량으로 시비하고 연작하기 때문에 표3과 같은 생리장해가 발생할 수 있다.

[표3] 시설내 수분 및 비배관리에 의해서 발생하는 생리장해

시설내 수분 및 비배관리에 의해서 발생하는 생리장해
유발요인 원인 생리장해명 증상
수분관리 과습해
건조해
가지 Mg결핍, Mn과잉
오이잘록과, 가지 무광태과
엽맥간 퇴록, 철녹증
고온 또는 저온동반
토양 pH 알칼리해

산성해
붕소결핍, 수박 비절성, 순멎이

생육저해, 망간과잉증
생육저해, 선단부 황화
꽃 형성불량
염류농도 상승동반
비배관리 염류집적해
양분불균형
비료가스해
염류농도장해
고토결핍, 석회결핍, 인산과잉
암모니아가스해, 아질산가스해
생육저해, 일시위조
엽맥간황화, 토마토 줄기갈변
엽에 불규칙 반점
라) 광합성 산물의 분배에 의한 것
광합성산물의 생산 및 분배는 노지재배에서도 문제가 되지만 저온 약일조 하의 시설재배에서는 더 크게 문제가 된다. 시설재배의 경우 기온, 시비 및 관수는 재배자가 환경을 임의로 조절 할 수 있지만, 재배시기나 시설에 따라서는 조절할 수 없는 경우도 있는데, 이때 광합성산물의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생리장해에 대해서 표4에 표시하였다.

[표4] 광합성 산물의 분배에 의해 발생하는 생리장해

광합성 산물의 분배에 의해 발생하는 생리장해
유발요인 원인 생리장해명 증상
일조불량 광합성산물 도장묘
줄기 과번무
비대불량, 기형과
품질 불량과
절간·엽병 길고, 꽃잎보다 꽃받침이 큼
정부∼꽃까지의 길이가 김
돌가지, 고추의 석과, 토마토 비대불량
공동과
저야온 광합성산물
이동지연
토마토 Mg결피엽
메론황화엽
엽맥간 황화
착과과다 광합성 저하 생리적낙과,
비대불량과
꽃이 작음, 차과후 비대불량, 오이 곤봉과, 선세과, 가지의 비대불량과
마) 접목에 의한 것
연작장해를 판단하는 기준의 대부분은 토양병해와 생리장해의 발생이라고 알려져 있다. 병해를 회피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접목재배를 하고 있는데, 접목방법 및 대목 등에 따라 급성위조증, 공동과, 발효과 등이 발생할 수 있다.
고추의 마그네슘(Mg) 결핍 사진
[ 고추의 마그네슘(Mg) 결핍 ]
가스피해 사진
[ 가스피해 ]
생리장해 종류별 증상과 방지대책
  • 가) 가스장해
    암모니아가스장해
    ① 증상 : 암모니아 가스장해는 생장점부근에서 중간부위에 걸쳐 피해를 받기 쉬운데 주로 식물체의 외측엽에 나타나며 잎주변이 수침상으로 되면서 검은색으로 고사한다.
    ② 발생원인 : 유기질비료를 다량으로 시용하였을 경우에 유기물분해 과정에서 생긴 암모니아가 토양중에 쌓여 토양이 알칼리성으로 되기 때문에 암모니아가 가스화되어 버린다. 또한 암모니아태 비료를 다량 시용한 후 고토질이나 석회질 비료를 시용하게 되면 암모니아가 가스화 되는 경우가 있고 질소질 비료가 직접 토양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용해될 때 가스가 발생하기도 한다.
    ③ 대책 : 암모니아 가스는 기비로 시용하였을 경우는 시용 후10일경, 추비로 시용하였을 경우는 시용 직후에 발생하며 암모니아 가스가 발생하면 암모니아 가스 냄새가 난다. 그리고 하우스 내측에 있는 물방울의 산도를 측정하여 보면 ph7.2이상의 알칼리성으로 될 때 가스가 발생하므로 수시로 측정하여 위험하면 환기를 잘 시켜 예방하고 추비는 반드시 액비로 만들어 관수하며 시비 후에는 충분한 관수를 하여 가스를 제거한다.
    아질산가스장해
    ① 증상 : 처음에는 잎표면에 백색의 수침상이 크게 나타나고 뒷면에도 백색의 수침상이 발생한다. 수침상이 나타난 후 3∼4일 정도 지나면 이부분이 백색으로 되어 정상적인 녹색부분의 주변과 확실한 경계가 되며 몇 일이 지난 후에는 백색부위는 담갈색을 띄며 낙엽된다. 발생부위는 주로 식물체의 중간부위 잎이 많고 생장점부위는 거의 피해를 받지 않는다.
    ② 발생원인 : 토양내에서 암모니아가 질산으로 변할 때 일시적으로 아질산이 되지만 이 아질산은 곧 질산으로 산화한다. 그러나 시비량이 많고 토양산도가 강산성을 나타내면 토양미생물의 활동에 이상을 일으켜 아질산의 산화가 순조롭지 못하게 되므로 아질산이 토양 내에 남아 온도의 상승에 의해서 하우스 내에 가스가 차서 장해를 일으키게 된다.
    ③ 대책 : 아질산 가스는 하우스내의 물방울을 측정하여 산도가 5.5 이하의 강산성으로 될 때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이때에는 환기를 시켜 가스피해를 방지하고 비료로는 계분, 깻묵, 요소 등의 순으로 발생하기 쉬우므로 과용을 피하고 전기전도도(EC)를 측정하여 시비량을 조절하도록 한다.
  • 나) 석과
    • ① 증상 : 시설 및 터널재배 시에 온도 및 일조의 영향에 의하여 기형과가 발생하는데 피만 고추에서는 과실이 정상적으로 자라지 못하고 과장과 과폭이 아주 짧게 되는데 이들 과실을 절단해 보면 태좌에 종자가 거의 없이 착과된 상태이다.
    • ② 발생원인 : 고추는 15℃이하나 30℃ 이상에서는 꽃가루에 이상이 생겨 수정되지 않으므로 생장호르몬의 분비가 안되어 과실의 생육이 불량하여 석과로 된다.
    • ③ 대책 : 석과 발생 원인 자체가 환경불량이 주요 원인이므로 시설내의 보온과 환기에 주의하여 밤에 15℃이하, 낮에 30℃이상이 되지않도록 하고, 채광통풍과 관수 조절을 잘하여 동화작용을 원활하게 하여 탄수화물의 이동이 잘되도록 한다.
      • 석과
        석과 사진
      • 석회결핍과
        석회결핍과 사진
      • 건조된 고추건조된 양파
        열과는 토양이 과습과 건조가 반복될 때 발생한다.
  • 다) 열과
    • ① 증상 : 여름철에 한발이 계속될 경우 과실 표면이 아래로 길게 갈라지거나 옆으로 갈라지는 경우가 있는데 상품가치가 없어지고 병 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 ② 발생원인 : 주로 토양내의 수분부족, 저온, 직사광선이 원인이 된다. 수분이 부족하면 과실 표면이 경화되는데, 관수를 하거나 비가 오게 되면 뿌리로부터 수분흡수가 이루어지므로 과실내부의 세포분열 또는 조직이 팽창하여 발생된다.
    • ③ 대책 : 토양내의 유기물함량이 많도록 하고 심경으로 토양의 보수력 등을 높여 뿌리의 활력 및 분포를 좋게 하고, 멀칭을 하여 토양 내 수분함량의 변화를 적게 한다.
      • 토마토 창문과
        토마토 창문과 사진
      • 일소과
        일소과 사진
      • 고온이나 저온에 의해 수정이 불완전할 경우 과실표면이 쭈글쭈글해진 고추 사진
        고온이나 저온에 의해 수정이 불완전할 경우 과실표면이
        쭈글쭈글해진다.
  • 라) 일소과
    • ① 증상 : 과실 표면이 강한 햇빛으로 타서 검게 되거나 흰색으로 되어 상품가치가 없어지며 과실이 부패하거나 낙과되어 버린다.
    • ② 발생원인 : 과육이 연한 피만 고추에서 많이 발생하는데 강한 햇빛을 직접 받으면 과면의 온도가 높아지면서 수분부족이 일어나 과피가 타게 되고, 과실 표면에 있는 물방울의 굴절현상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가 있다.
    • ③ 대책 : 시설재배 시에는 통풍 및 환기로 고온이 되지 않도록 하고, 과실이 직접 강한 빛에 노출되지 않도록 관리한다. 일소과가 발생하면 빨리 제거하여 2차적인 발병을 막는다.
  • 마) 공동과
    • ① 증상 : 토마토에서 많이 발생하며, 과실내의 종자가 충실히 성숙하지 못하기 때문에 과피부 발육에 비하여 태좌부 발육이 떨어져 과실내부에 공간이 생긴다.
    • ② 발생원인 : 공동과는 수정이 불량하거나 고농도 착과제를 처리한 경우와 고온기에 호흡에 의한 동화양분의 소모로 충분한 축적이 않되는 경웅[P 발생하기 쉽다.
    • ③ 대책 : 착과제 처리시 적농도로 처리하는데 개화 당일, 또는 개화 1일 후 꽃에 토마토톤 50∼100배(저온시 고농도, 고온시 저농도)의 농도로 꽃이 전면에 살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미숙한 꽃에는 시용을 피한다.
      • 불량한 재배환경이나 착과제를 고농도로 처리했을 때 발생한 참외 배꼽과 사진
        불량한 재배환경이나 착과제를 고농도로 처리했을 때 발생한 참외 배꼽과
      • 한 개의 화방에서 2개 이상의 과실이 발생하는 경우 사진
        한 개의 화방에서 2개 이상의 과실이 발생하는 경우
  • 바) 배꼽썩이과
    • ① 증상 : 과실의 비대과정에서 꽃이 떨어진 부분이 수침상으로 되면서 암록색으로 변색되어 병반부위가 확대되면서 흑색으로 변하고 장해부위가 움푹하게 들어간다.
    • ② 발생원인 : 토양중에 석회가 부족하거나, 토양 중에 석회 성분이 있어도 질소질 비료, 칼리질 비료 또는 마그네슘 과잉으로 석회의 흡수가 불가능할 때와 토양내가 고온 건조하여 석회를 흡수하지 못할 때에도 이 장해가 일어난다.
    • ③ 대책 : 토양 중에 석회가 부족되지 않도록 충분히 시비하고, 토양내의 온도 및 수분의 변화가 적도록 관리한다. 발생이 우려되면 염화칼슘 0.3%액을 새로운 잎, 줄기 또는 새로 나온 화방에 1주일 간격으로 3∼4회 엽면 살포한다.
  • 사) 기형과
    • ① 증상 : 과실이 타원형으로 되거나, 과실선단부가 벌어지거나, 과실 내부의 심실수가 많아지는 경우, 과실이 벌어져 종자가 보이는 경우, 과실의 일부가 돌출하는 것 등이 있다.
    • ② 발생원인 : 화아분화 시 저온을 만나거나 생장점부위에 영양이과잉축적이 될 때 분화하는 화기가 기형으로 된다.
    • ③ 대책 : 재배기간 중에 온도가 내려가지 않도록 하고 토양 중에 수분함량이 적도록 관리한다. 생육을 억제시켜 생장점부위에 영양분이 과잉축적되지 않도록 비배관리에 주의한다. 특히 육묘기 후반부터 화아분화기에 묘를 경화시키고 온도도 저온으로 내려가지 않도록 관리한다.
  • 아) 순멎이현상
    • ① 증상 : 생장점부근에 암꽃이 많이 발생하고 생육이 정지되어 순이 자라지 못하고 멈추어 버린다.
    • ② 발생원인 : 육묘시에는 육묘용 포트의 크기가 작아 상토량이 작거나 건조, 질소결핍 또는 식물체의 상처가 심한 경우에 발생하며, 가장 큰 원인은 짧은 기간에 급속히 저온(흑침오이 10℃, 백침오이 13℃이하)으로 되거나 일조시간이 짧은 경우(7시간 이하)에 발생한다.
    • ③ 대책 : 육묘시에 저온단일 조건이 되지 않도록 보온에 유의하고 정식 후에도 관수, 추비, 보온을 철저히 한다. 일단 순멎이현상이 발생한 포기 에서는 좀처럼 회복되기 힘들기 때문에 사전에 좋은 소질의 묘로 육성할 필요가 있다.

원예연구소 채소재배과
농업연구사 신 영 안